top of page

티아라 이야기

존경의 상징에서 권력의 심볼을 거쳐, 사회적 변화에 따라 장식적 가치로의 진화를 보여주는 티아라 이야기.


2017년 미키모토가 브랜드  창립 11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만든  ‘라 플로르 드 미키모토’ 티아라.

2017년 미키모토가 브랜드 창립 11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만든 ‘라 플로르 드 미키모토’ 티아라.


나폴레옹 대관식, 나폴레옹 왕관의 나뭇잎


1804년 12월 2일, 나폴레옹이 노트르담 성당에서 열릴 자신의 대관식 집전을 교황 비오 7세에게 요청했다. 교황은 나폴레옹에게 관을 씌움으로써, 카톨릭 교회와 관계가 좋지 않던 나폴레옹이 자신의 발 앞에 무릎을 꿇게 될 것이라 예상하며, 이를 통해 세상에 교회의 권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계산하고 이를 수락했다. 하지만, 나폴레옹은 교황의 손에서 관을 직접 가져가서 꼿꼿하게 서 있는 자세로 스스로의 머리 위에 황금 월계관을 씌우고, 조제핀의 머리 위에도 직접 황후의 관을 올렸다. 이 행동은 교황의 체면을 크게 손상시키는 순간이었다. 자크 루이 다비드는 이 장면을 10미터가 넘는 유화로 기록했다. 이화려한 대관식은 권력이 타인에게서 받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힘으로 얻는 것임을 보여줬다.나폴레옹은 자신의 출신에 대한 열등감을 극복하고, 로마 황제의 관을 재현하여 동등한 지위를 얻었으며, 조제핀을 위해 빛나는 티아라를 주문해 그녀의 지위를 높였다. 이처럼 티아라는 권력과 지위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진주 티아라를 쓴 조세핀 황후, 20세기 초 티아라를 쓴 영국의 귀부인들


존경의 상징에서 자신의 표현 수단으로


티아라의 역사는 고대 이집트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집트에서는 살아 있는 사람부터 망자까지 모두에게

존경의 표시로 사용되었다. 그리스에서는 신을 찬양하는 상징으로 여겨졌고, 로마 시대에는 지위와 명예

의 상징, 왕권이 가진 절대 권력의 이미지를 대표했다. 중세시대에 봉건주의가 출현하면서, 머리 장식은 매우 중

요한 부분으로 여겨져 의상의 일부가 되었다. 왕족과 귀족 여성은 보석으로 장식된 화관 형태의 티아라를 지참금의 일부로 받았으며, 결혼 서약서에는 티아라에 사용된 금, 은, 보석, 진주 등의 가치가 명시되기도 했다. 이는 결혼의 의미와 고귀함, 귀족성을 상징했다. 16세기에 깃털 머리장식 등으로 대체될 것 같았던 이 풍습은 18세기에 사라질 듯했다가 18세기 말 고전주의의 부활로 다시 등장했다. 이 시기에 티아라는 금속세공에서 보석 중심의 형태로 변화했는데, 이는 아마도 보석의 발견과 수집의 결과일 것이다. 또한, 이 시기는 제국주의가 한창이었고, 신비로운 동양의 문화가 서구에 소개되어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아름다운 보석들은 대를 이어 재세팅되었고, 티아라의 수는 급격하게 증가했다.


티아라를 쓴 엘리자베스 여왕 2세, 쇼메의 엉 에르드 쇼메






 



티아라에 관한 자세한 이야기는 드림즈 창간호를 통해 만나볼 수 있습니다.






Writter : 강민정 (동덕여자대학교 예술대학 디지털공예과 교수)


DREAMS MAGAZINE

㈜미디어퍼페추얼 | 드림즈 코리아

서울 성동구 아차산로 17길 48 501호

Tel : 02-6956-1551 | E-mail dreamsmag@naver.com

사업자등록번호 : 841-81-01340 | 출판사 신고 제2019-000176호

개인정보책임관리 이은경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