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보석 투자 시장의 새로운 가능성, STO와 RWA

  • veditor3
  • 7월 30일
  • 1분 분량

최종 수정일: 8월 5일

최근 금융시장에서 주목받는 두 개념, 즉 STO(Security Token Offering)와 RWA(Real World Asset)는 보석 및 하이 주얼리 투자 방식에도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디지털 기술을 통해 전통적 실물 자산인 보석이 토큰화되면서, 이제는 실물 없이도 고급 보석에 투자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과연 보석 투자는 실현 가능한 일일까? 보석 및 하이 주얼리의 디지털 자산화 흐름과 함께 투자를 고려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요소를 짚어 보았다.


디지털 보석을 표현한 AI 이미지.
디지털 보석을 표현한 AI 이미지. 

STO와 RWA, 디지털 보석 투자의 핵심

STO는 실물 자산을 기반으로 한 보안 토큰을 발행하고, 이를 디지털 방식으로 거래하는 자금 모집 방식이다. 기존 ICO(Initial Coin Offering)보다 규제에 기반한 구조를 갖춰 투자자에게 자산에 대한 실질적 소유권을 디지털 증서 형태로 제공하며, 보다 안정적 투자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RWA는 부동산, 미술품, 보석 등 실물 자산을 블록체인상에서 토큰화해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개념이다. 보석 역시 RWA 방식으로 디지털 자산으로 전환되면 기존보다 훨씬 더 많은 투자자가 쉽게 접근하고 거래할 수 있게 된다.

 

샤넬 하이 주얼리의 와일드 앳 하트 링.
샤넬 하이 주얼리의 와일드 앳 하트 링.

보석 투자의 가능성을 연 디지털 기술

전통적으로 보석은 상속 자산이나 담보 자산 성격이 강했다. 고가 다이아몬드나 희귀 보석은 주로 금융기관 담보나 개인 자산이었고, 일반 투자자는 접근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최근 STO와 RWA를 통해 보석 소유권을 디지털화해 분할 투자가 가능해지면서 실물 없이도 보석의 가치를 누릴 수 있는 방식이 현실화되고 있다. 다이아몬드 같은 고급 보석은 그 희귀성과 물리적 특성 덕분에 시간이 지나도 가치가 유지되거나 오히려 상승하는 경우 가 많다. 이러한 자산을 STO나 RWA로 토큰화하면 물리적 운송 또는 보관 없이도 투자자들이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그 가치에 접근할 수 있다. 이는 특히 글로벌 투자자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



글: 김성기 (한국주얼리가치평가원 원장)




 디지털 보석에 투자하기 전 꼭 짚어야 할 포인트를 <드림즈 코리아> 2025 여름호에서 확인해 보세요!





DREAMS MAGAZINE

㈜미디어퍼페추얼 | 드림즈 코리아

서울특별시 성동구 아차산로 17길 48 501호

Tel : 02-6956-1551 | E-mail dreamsmag@naver.com

사업자등록번호 : 841-81-01340 | 출판사 신고 2019-000176호

개인정보책임관리 이은경

bottom of page